웹하드 이용팁
 
작성일 : 12-01-14 13:41
- 각 통신사별 망 정책과 KT 2G 종료 정책의 문제 -
 글쓴이 : Amen
조회 : 2,031  
 

요새 모공에 KT 2G 종료건에 대한 말이 많아서 그냥 몇가지 아는 내용을 주절거려 봅니다.
제가 틀렸거나 모르는 사항에 대해서는 댓글로 당연히 보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글을 쓰지 말았어야 하나, 저같은 넘이 한명쯤 있는 것도 나쁘지 않잖아요? ^^.)


SKT(구 한국이동통신, 017신세계통신 합병)의 정책
 
SKT는 보통사람 정권의 혜택을 톡톡히 보고 정부 재산인 한국이동통신을 꿀걱 먹고서 아주 손쉽게 사업을 시작한 업체이지요.
 
특히, 2G의 대표적인 800MHz 주파수, 이른바 "황금주파수"대역을 태생부터 이용하여, 일명2G의 황제 "011"의 브랜드 가치는 말할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또한 같은 주파수를 쓰는 017, 신세계통신을 먹은 것도......)
 
그러나, 3G부터는 기존 800MHz 대역이 아닌 2.1GHz가 할당되어, GSM에서 발전된 WCDMA방식을 채용하면서 한때 KT에 역전되기도 했습니다.
 
이유야 여러가지 있겠습니다만, 1.8GHz를 사용하던 PCS(당시 KTF, LG텔레콤)는 2.1GHz 기지국으로 조금 더 변환이 쉽게 된 것에 비해서(쉽게 말해 기존 기지국을 재활용한다는 형식이라고 할까요), 주파수의 특성상 도달거리가 긴 800MHz 기지국에 비해서 도달거리가 짧기 때문에 조금더 오밀 조밀하게 배치해야 하고 운영방식이 달라서, SKT는 당시 3G 기지국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2G 기지국과 별도로 3G 기지국을 배치하는 삽질 중의 삽질을 하는게 이르렀습니다.
(때문에 아주 나중에는 800MHz 2G 기지국과 2.1GHz를 동시 운용하는 기지국을 개발하기도 하였고, 여기에 1.8GHz까지 통합 운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하기도 했다나 뭐래나......)
 
뭐, 황금주파수 때의 장점이 3G때에는 새로 시작하게 했던 삽질이었지요.
 
아무튼 결론은 SKT는 현재 2G, 3G, LTE에 대한 아주 다양한 네트웍 운영을 하고 있고, 2G에 할당하였던 800MHz 주파수는 LTE와도 분배하여 2G서비스를 유지하면서 LTE를 하는 꼼수 및 3G는 지속적으로 망 운영, 새로이 받은 1.8GHz를 통해서 LTE를 대응할 수 있는 아주 Best한 그림을 그린 상태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Best 한 그림이지만, 각 주파수에 모두 대응을 하고  2G, 3G, LTE까지 모두 대응을 하려면 과도한 망 운영 비용이 지출될 수 밖에 없고. 과연 언제까지 그러한 망 운영을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실제로 2018년에 2G를 종료하겠다고 엄포를 부리고 있기도 하구요. 그러나 아직 우리에게는 군 작전용 라인이라는 2G 군통신이 있기에 그마나 거기에 2G 서비스의 유지를 기대하고는 있습니다. (물론 군통신도 SKT에서 주파수 유지 못하겠다고 난리라, 3G로 전환하려고 하는데, 때문에 그건 절대 반대하는 1人입니다. ^^)
 
 
자 다음으로 KT(구 KT프리텔(KTF), 018한솔PCS 합병)의 정책
 
PCS시대에 맞추어 KTF, 한솔PCS, LG텔레콤은 PCS주파수라는 1.8GHz를 할당받아 사업을 시작합니다. 당시 삼성의 에버텔(?)인가는 사업 승인을 받지 못했지요. 
 
아무튼, KTF는 1.8GHz로 사업을 시작하면서 SKT의 2G 800MHz 대비 부족한 커버리지를 PCS 3사가 지역별로 기지국을 설치하고 로밍으로 해결하는 무식한(?)방법을 통해서 해결합니다. 예를 들어 KT는 경상도라면 전라도는 LG텔레콤이, 충청도는 한솔PCS가 기지국을 주로 설치한다는 등, 그로 인해 특정 지역에서는 아직도 특정 통신사가 우세하기도 하는 일이 아주 가끔 있기는 합니다.
 
서로 시장 경쟁을 하던 중, 한솔PCS가 먼저 뻗어버리고, KTF에 먹혀버리게 됩니다. 뭐 이 작은 나라에서 당연한 것이라고 보입니다. 그러면서 PCS 3사의 공조는 PCS 2사가 되면서, LG텔레콤만 따~~ 가 되어버렸지요.
 
그 당시 부터 KTF는 결국 KT에 먹힌다라는 소문이 돌았고, 유무선통신사업자 승인이 나면서 결국 KTF는 KT에 먹혀 뒤의 F(Freetel)을 떼어버리게 되었습니다.
 
뭐 KT의 돈도 있겠다. 특히 KT의 유선망이 강력하겠다. 기지국도 PCS기지국에 SW패치(실제로는 아닙니다만, 이해를 돕기 위해) 같은 형태를 이용하여 3G기지국으로 바꿀 수 있었겠다. 이후 3G에서 KT는 승승장구. SKT의 과거의 영광을 이어가는 마케팅이 아니었으면 KT가 시장을 잡아먹을 수도 있었을 정도 였습니다. 뭐 거기에 아이폰까지 가져오면서, 한때 KT님이 되기도 했을 정도였으니까요. (그에 비해 삼성싸고 돌던 SKT는 브랜드 가치가 팍팍 떨어지기도 했을려나요. ^^)
 
그런데, KT는 유선사업자가 무선통신사업자를 먹은거라, 이전부터 Nespot, Wibro 등 뭔가 요상한것을 많이 진행하는게 결국 무선 통신에서 문제가 되기에 이르럽니다. Wibro에 돈 쓴것도 많은데, LTE부터는 우째냐하면서 가지고 있는 주파수를 보니, 기존 PCS시절의 2G 주파수, 3G에서 확보한 주파수 등이 있는데, 차세대 통신 시장의 흐름을 보다보니, KT에서 확보한 주파수대로 LTE가 표준으로 가지를 않더라는 문제가 발생되게 됩니다. KT가 단독으로 확보한 900MHz 주파수가 있는데, 세계 표준이 되는 LTE주파수는 800MHz라는 문제가 톡 튀어나왔네요. 만약 900MHz가 LTE표준이 되었으면 KT는 아주 난리도 아니었겠지만요(단독이니 말입니다.)
 
그래서, KT는 결단을 내립니다.(이렇게 쓰고 삽질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라고 읽는게 맞을 겁니다. 아마도......) 남들다하는 LTE에 대해서 800MHz / 10MHz(LTE)와 900MHz / 20Mhz(LTE)로 하기는 어려우니, 1.8GHz 2G망을 종료하여 LTE로 전환하자는 엄한 생각을 하기 이르렀습니다. 뭐 거기에는 해당 주파수로 SKT가 LTE를 한다는 것과 그로 인한 단말기 수급이 원할할 것이라는 생각도 배경에 깔렸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2.1GHz 3G는 유지, 2.3GHz는 와이브로, 1.8GHz는 LTE라는 정책을 세우고 진행하려고 그렇게 난리를 쳐댄 것지이요. (그러나, 그 와중에도 이른바 황금주파수였던 800MHz / 10Mhz(SKT는 LTE로 대응 중인)와 KT단독 보유인 900Mhz 주파수를 안 쓰고 쟁겨 있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
 
뭐 앞서서 이야기 했듯이 800MHz 기지국 대비, 1.8GHz, 2.1Ghz 기지국은 혼용이 가능할 수 도 있기에 망 운영비용에서 많은 부분을 Save할 수 있는 KT에서는 일거양득을 넘어서는 신의 한수로 생각하고, 이번 주파수 경매에서도 1조원이 넘도록 SKT를 끌어당긴 후 포기해서 SKT가 비싼 가격에 주파수를 사도록 유도하기도 했습니다. (뭐 실제로 KT 생각대로만 된다면 SKT대비 망 운영 비용은 많이 줄것이고 수익도 엄청 증가하겠죠?)
 
때문에 KT의 2G 서비스 종료는 어찌보면 타 통신사와의 경쟁을 위해서라고 막아야 하는 사항일 수 있습니다.(이 부분은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마지막으로 LGU+(구 LG텔레콤, 영원한 3등이었으나......)의 정책
 
LG텔레콤, 영원한 3등, 헬쥐 등등 치욕(?)의 브랜드 가치를 가진 통신사업자였습니다. PCS3사 시절에도 저 역시 PCS기기를 싸게 확보하는 통신사로 인식했으니까요. (LG텔레콤 기기를 개통해서 의무 기간 이후 KTF&한솔PCS용으로 AS센터에서 SW변환해서 사용. 대표적으로 LGE i-book 시리즈.--.)
 
솔직하게 3G까지도 헬쥐의 악명은 이어졌습니다. 저같은 경우 같은 회사의 U+폰 사용자에게 긴급한 통화를 걸어도 받지 않아, 악명을 더 날리게 만들었지요.
 
그런데, LTE때 오니 "우리 LGU+가 달라졌어요"가 되었습니다.
 
이유는, PCS 3사 공조가 깨지고 LG텔레콤만 따~~가 되면서, WCDMA를 대응하지 못하고 CDMA Rev.A라는 애매한 스펙으로 3G서비스 비스무레한 것을 하게 되었기에, 과감하게 통신사업에 대한 포기에 가까울 정도의 정책을 세우고 LTE를 준비했기 때문입니다.
 
뭐 CDMA Rev.A를 채용한 단점에 대해서는, 혼자, 그것도 시장이 작은 사업자의 주파수라 단말기고 적고, 해외 단말기 도입도 어렵고, 해외 로밍도 어렵고 기타 등등 한때 애로 사항이 꽃핀 주파수라고만 적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이걸 다 적자면 LGU+편드는 것 같아요 ^^)
 
3G 기지국에 대한 투자 비용을 줄이고, 모아서 LTE한방을 노렸던 것과, 역시 1.8GHz로 시작한 PCS기반 이었기에 2.1GHz LTE 기지국으로 손쉽게 업그레이드. 그리고 800Mhz LTE 주파수 확보로 인해서 LTE만으로만 보자면 SKT보다 좋다라는 평을 받게 이르렀습니다. (뭐 간단히 전국망 누가 먼저 하나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그 정책에 따른 희생양이 된 2G/3G 가입자에게는 그동안 낸 기본요금과 통신 요금에 대해서 보상이 되어야 하지만..... 그거는 입 싹 씼는거야. 뭐 -.-. (기존 사용자들에게 제대로 보상해라 헬쥐U+)
 
뭐 어찌되었든 LTE부터는 LGU+가 갑입니다. 적어도 제 의견으로는요.

아예 LTE All in 정책이기 때문에, 아마도 2012년 부터는 LGU+는 LTE폰만 90%이상이 준비된 것으로 알고 있고 접속 속도 및 커버리지도 아직까지는 독보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LTE에 집중하다 보니 망 유지비용도 3사중 가장 저렴한 상태입니다. (또 언급될 수 있는 LGU+ 2G/3G 가입자들은 우째...--;)

뭐 주절 주절 말이 많습니다만......
 
결론은 이겁니다.
 
SKT - 800MHz 황금기를 누렸으나, 3G때 조금 고생. LTE때 중상이상은 되나, 2G/3G/LTE에 대한 과도한 망 유지비용 예상. 그러나 돈지랄로 다 운영할 것으로 예측. 2018년 예정하다는 2G 종료는 기를 쓰고 막아야 함.
 
KT - 3G에 황금기. 경영진의 선택으로 비표준 황금주파수를 확보했으나 숨겨두고 있음(800MHz/10MHz, 900MHz/20Mhz). 그 주파수 말고 멀쩡한 1.8Ghz 2G 주파수를 SKT따라 갈려고, LTE로 가겠다고 횡포. KT가 2G를 무사히 종료시키면 SKT나 LGU+가 따라 갈 수 있기에 막아야 함.
 
LGU - PCS 3사공조에서 따~ 되고, 3G에서도 따~ 되어 LTE에 올인. 그로 인해 LTE에서는 갑. 2G/3G 서비스 질이 안좋기에 종료하는 것에 대해서 관심은 없으나, 타 통신사가 쫒아서 할 수 있으니 LTE 올인 정책만 유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지켜봐야 함.

 
 

웹하드 이용팁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웹하드 관련 이용팁을 올려주세요! 따운 02-23
공지 게시판 공통 공지사항 및 유의사항 따운 01-13
1055 네이버 블로그 텍스트 긁어오기 막힌… Amen 01-14
1054 RSS를 알아보자 - 정보의 깔때기 Amen 01-14
1053 배송대행지에서 배송중인 항공편 실… Amen 01-14
1052 와이브로 무제한 사용방법 Amen 01-14
1051                연말정산- 급여 및 4대보험에 대하여 Amen 01-14
1050 휴대폰 실제 크기 비교 사이트 Amen 01-14
1049 인터넷서점 '최저가 보상제' … Amen 01-14
1048 인터넷(3년약정) 해지 타이밍 Amen 01-14
1047 LTE기기,3G only지역에서 3G가 간헐적으… Amen 01-14
1046 각 통신사별 망 정책과 KT 2G 종료 정책… Amen 01-14
1045 KT 약정 끝나신 분들은 우량고객 장기… Amen 01-14
1044             연말정산- 비과세소득과 원천징수영… Amen 01-14
1043 자동차 속도위반 등 조회 홈페이지 Amen 01-14
1042 MS 파워포인트에서 실행 취소(Ctrl+Z) 최… Amen 01-14
1041 아마존 주문 후 금액 변동분만큼 환불… Amen 01-14
1040 채권보존료는 환급받으셨나요? Amen 01-14
1039 배드민턴 라켓의 진실 Amen 01-14
1038 왜 AS기사나 고객상담원이 나 보다 더 … (1) Amen 01-14
1037          연말정산- 근로소득공제 와 기본공제 Amen 01-14
1036 안드로이드 계열의 볼륨조절 단계 늘… Amen 01-14
1035 특정 사이트의 글꼴을 바꾸거나 줄간… Amen 01-14
1034 갤럭시 시리즈에서 사진 안흔들리고 … Amen 01-14
1033       연말정산- 추가공제와 특별공제 Amen 01-14
1032 노트북을 무선AP로 쓰기 Amen 01-14
1031 해외 구매시 관세,면세 판단하기 Amen 01-14
 1  2  3  4  5  6  7  8  9  10    
본 사이트는 웹하드 순위 정보 제공사이트로 저작권 및 자료 관련 문의는 각 업체로 해주세요.
Copyrightⓒ ddaun.com All rights reserved.  문의하기